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Pipeline Studio

실외기 원리와 관리 본문

4차산업혁명 및 아이디어

실외기 원리와 관리

장✤ 2018. 6. 29. 09:32

전국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후덥지근한 날씨가 계속되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서 이러한 장마속에서 버티기 위해서 에어컨을 틀었습니다. 오랜만에 틀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에어컨에서 찬바람이 전혀 나오지 않았습니다. 온도를 많이 낮췄는데도 전혀 차가워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알고 보니 실외기에 가스가 전혀 없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어쨌든 가스도 채우고 에어컨 필터도 갈고 하면서 이번 여름을 맞이할 준비를 다 하게 되었습니다. 여름이 다가오고 에어콘을 가동하게 되면 우리들은 먼저 에어콘 내부에 있는 필터를 세척해주어야 합니다그래야 냄새도 덜 나고효율도 좋다고 합니다그런데 실내에 있는 에어컨 필터에 있는 먼지뿐만 아니라 실외기에 쌓인 먼지 또한 제거해주는 것이 효율 및 안전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고 합니다오늘은 이 실외기에 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실외기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간단하게 에어컨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사진은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가져온 것입니다에어컨의 기본적인 원리는 기화열에 의한 냉각입니다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합니다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가 다시 증기로 기화할 때 열을 빼앗아 주위의 온도를 낮춥니다실내에 있는 에어콘이 시원한 공기를 내뿜는 원리가 이것입니다에어컨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이루어집니다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갑니다실내기에서는 찬 바람이 나오고 실외기에서는 더운 바람이 나옵니다.

 

실외기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면, 위의 사진처럼 실외기 구조의 내부에는 응축기압축기실외기 팬 등이 있습니다위에서 에어콘의 원리에 대해서 가볍게 언급한 내용 중에서 실내기에는 찬 바람실외기에는 더운 바람이 나온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실외기는 더운 바람을 배출 시켜주기 위해서 필요한 장치입니다팬이 돌아가면서 원활히 공기를 배출시켜주면 되는 데 응축기(냉각핀)이라고 불리는 이곳에 먼지가 쌓이면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응축기(냉각핀)는 꼬불꼬불(?)하다고 해야 하나 저는 처음에 이게 먼지 필터 인줄 알았는데 눌러보니깐 딱딱한 철같은 것으로 되어 있었습니다중요한 것은 이것들 사이에 공간이 있고 이 사이에 시간이 지나게 되면 먼지가 쌓이게 된다는 것입니다. 실외기에 먼지가 좀 쌓이는 것에 대해서 대부분에 사람들은 사소한 문제로 여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실외기에 먼지가 쌓여서 화재가 발생한 사건이 있다고 합니다. 먼지 뿐만이 아니라 실외기 관리를 소홀히 해서 발생한 화재 사고가 적지 않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접수된 에어컨 화재 사고 472건 가운데 63.3%인 299건이 실외기에서 발생했다고 합니다에어컨 실외기 사고는 2014년 71, 2015년 100, 2016년 128건 등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물론 실외기 냉각핀에 쌓인 먼지만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화재의 원인은 과열과부하접속 불량압착손상 단락 등의 설치 환경기기 노후먼지 쌓임절연 열화 등에 의한 노후화 문제담배꽁초가연물 방치 등의 부주의 등이 있습니다실외기에 쌓인 먼지가 실외기 화재의 주 원인은 아니지만 화재의 원인중에 한가지 인 것은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실외기에 먼지가 쌓이는 것이 화재 사고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이 먼지가 화재뿐만이 아니라 에어컨의 냉방효율과도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한 에어컨 제조업체에서 에어컨 실외기의 냉각핀 오염과 냉방능력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출고 시 대비 냉각핀이 30% 오염됐을 때 냉방능력은 2% 떨어지고소비전력은 10% 상승했습니다냉각핀이 50% 오염 됐을 때는 냉방능력은 7% 떨어지고소비전력은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즉 실외기에 쌓인 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화재예방 뿐만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냉방효과를 상승시켜서 전기세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에어컨을 틀고 싶어도 전기세 때문에 오랜 시간 가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렇게라도 전기세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좋은 것 같습니다.


이렇게 실외기가 에어컨의 냉장효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이와 관련해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실외기 절전 커버입니다. 실외기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에어컨의 냉방 효율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실외기 윗부분에 소량의 물이나 젖은 수건을 올려놓으면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만약 옥상에 실외기가 있거나 하면 자주 물을 뿌려주기도 힘이 들고, 또한 한 번씩 수동적으로 뿌려주는 것은 큰 효과를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위 사진은 G마켓에서 가져왔습니다위 사진에 실외기 절전 커버는 실외기의 외관에 직접적으로 내리쬐는 햇빛을 차단해주므로써 실외기의 온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막아주는 아이디어 제품입니다실제로 G마켓이나 온라인 상으로 쉽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실외기에 부착 시키는 것 또한 쉽게 할 수 있어 편하게 실외기의 온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미스트 박스입니다. 미스트박스는 에어컨 보조장치로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입니다미스트박스라는 제품은 미국내에만 판매되고 있는 제품입니다미국의 여러 지역에서 테스트 결과 에어컨 전기 요금을 약 30%정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합니다미스트박스는 실외기에 설치하여 분무기로 물입자를 뿌리면서 실외기의 응축기 코일 부분에서 미리 식혀서 압축기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입니다미스트박스 안에 있는 센서를 통해 에어컨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미스트를 잘 뿌리고 있는 지에너지 절약 효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으로 전달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실외기의 온도가 상승하면 노즐에서 미스트를 분사시켜서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춰주는 제품은 본적이 있었지만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연결해서 데이터까지 측정이 가능한지는 처음 알 게 된 것 같습니다미스트 박스아이디어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분사된 물입자가 실외기 외관을 손상시키지는 않는지비교적 땅이 넓은 미국에서나 가능하고 밀집되어 있는 한국에는 맞지 않지 않느냐는 등의 문제가 제거되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두 개의 아이디어 상품을 찾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실제로 우리들이 실외기를 설치, 관리하는 것에 있어서 유의해야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에어컨의 실외기는 벽체와 10c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고 실외기 전선은 이음부가 없는 전선으로 설치합니다에어컨 가동 시 실외기 연결부 전선의 훼손 여부 등 상태를 확인하고 실외기 바닥에 설치 된 방진고무가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즉시 교체합니다여기서 방진고무는 기기가 진동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외기 후면의 누적먼지나 벽체 사이의 낙엽 등 이물질은 주기적으로 청소하고 실외기 주위에 불에 탈 수 있는 물품을 보관하지 않습니다더운 여름날 실외기 외관(위쪽에물을 뿌려 놓으면또는 차가운 물을 머금은 수건을 올려놓으면 실외기의 온도를 낮춰서 냉방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솔직히 에어컨 먼지 필터는 청소한 적이 있지만 실외기 청소는 한 번도 한적이 없습니다그리고 실외기 내부 청소 같은 경우에는 냉각핀을 고압의 물과 공기로 분사시켜서 세척을 해주는 것이 좋으므로 업체에 맡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청소 한 번을 통해서 화재도 예방하고 냉방효과도 상승시키고, 1석 2조의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실외기 내부 청소, 다가오는 여름을 위해 몸매관리 뿐만이 아니라 실외기 관리도 한 번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차산업혁명 및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PU와 GPU, 그리고 TPU란?  (0) 2018.07.01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  (0) 2018.06.30
스마트 공장에 대해서 알아보자  (0) 2018.06.28
4차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2) 2018.06.24
드론의 전망  (0) 2018.06.23
Comments